이 비는 1748년(영조 24) 안동 사림이 발기하여 고려 명신 정평공(靖平公) 손홍량(孫洪亮 1287∼1379)의 유허(遺墟)에 세운 비이다. 그의 호는 죽석(竹石)이고 본관은 ...
이 불상은 자연 암벽에 돋을 새김 한 것으로 대좌의 하단은 5판, 상단은 7판으로 된 이중연화대좌에 우견편단의 법의를 갖추고 앞가슴 부분에는 군의의 띠맺음을 갖추고 있다. 전체의 ...
1487년에 개축되었으며 원형이 보존된 한국 최고(最古)의 전탑이다. 이 탑은 국내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통일신라시대 칠층전탑. 판석 조각의 수법은 시대가 동일하지 않고 탑신부는 ...
남양사 터라고 전해오는 자리에 서있는 삼층석탑이다. 초층기단 위에 삼층석탑을 올린 형식이나 탑신 및 옥개가 단석으로 되어있고 탑신에는 우주가 각출되어 있으며 목발 이상의 상륜부...
이중기단의 삼층석탑으로, 옥신(屋身)에는 층마다 우주가 새겨졌고 옥개받침은 1.2층이 5단이고 3층은 4단이다. 초층옥신 한 쪽에 문 모양과 자물쇠가 새겨졌으며, 상륜부(相輪部)는...